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

2024년 독서특강, 독서어머니회 특강, 독서의 계절특강 2024년 독서의 계절 독서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너무 많은 행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닌가 망설였지만 한결같이 학교도서관에 애정어린 관심과 지지를 해주시는 어머님들께 무언가를 도움을 드리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였습니다.  2022년 '2050년에서 온 우리아이를 위한 본질독서' (2022년 12월)2023년 '그림책읽기, 사실적읽기, 추론적읽기, 교과서 읽기' (2023년 분기별)를 진행하며 '정말 도움이 되었다''독서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보게 되었다''독서교육뿐만 아니라 아이들 키우는데 부모교육으로도 참 좋다'라는  말씀에 힘입어올 한해도 이 한몸 바치겠다라는 마음으로 준비하였습니다.  2022년 2023년 정말 많은 분들이 신청해주셔셔2024년은 25명만 신청을 받았는데 역시 감사하게도 5분만에 신청이 .. 2024. 11. 11.
15. 독서교육의 원리 - 적자에게 적서를 적기에 제공 15. 독서교육의 원리 - 적자에게 적서를 적기에 제공( The Right Book for the Right Person at the Right Time) 독서교육의 방법은 교육목적, 교육장소, 교육대상, 독서자료와 교육방법, 독서환경이라는 모든 조건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는 활동이다. 족자와 독서자료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독자의 자지 창조와 발전을 지원해주는 활동이므로 독자(지도대상), 독서자료(문제), 지도의 적절시기등 3가지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적자(適者) 에게 적서(適書)를 적기(適期)에 제공함을 의미한다. 1) 적자의 원리독자는 자신의 능력, 요구 및 흥미에 따라서 독서활동을 전개하게 된다. 독자의 독서활도은 개인별로 다르고 계속해서 변화하고있으므로 독서교육은 개개인에 맞게 지도하여.. 2024. 11. 10.
14. 독서활동과 독서프로그램 3- ★★내용교과 독서, SQ3R, KWL, 요약하기,메모하기, 도해조직자, 질문하기 14.1. 내용 교과독서란? ★중요내용교과 독서란 특정한 교과 학습을 위해 교과서나 관련 도서를 읽고 교과학습에 필요한 개념이나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독서활동이다. 독서활동은 독서목적에 따라 여가독서와 학습 독서호라동으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여가 독서는 독자가 책을 읽는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독서이고 학습독서는 독자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독서이다. 내용교과독서는 학습 독서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1) SQ3R설명적 텍스트 읽기에 활용되기에 적합한 전략으로 전통적이고 대표적 읽기 전략이다.SQ3R은 Survey, Question, Read, Recite, Review의 약자로, 5단계로 구성된 체계적인 독서 전략이다.  -Survey (훑어보기) 책의 전체 구조를 파악한다목차.. 2024. 11. 6.
13. 독서활동과 독서프로그램 2- ★교사중심읽기, 자기주도 읽기 13.1. 교사중심읽기성공적 읽기 지도 방법들은 공통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몇가지 중요한 것은 학생이 직접 개인의 능력에 맞게 좋은 텍스트를 읽으며 의미를 구성해주는 역할을 경험해 주거나 학생에게 필요한 읽기 기능이나 전략을 직접 가르쳐주며 교사 주도와 학생 주도의 활동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문법이나 쓰기 등과 통합적으로 활동이 이루어진다는 것 역시 중요하다. 단기간 집중적으로 읽기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주도 모형을 알아보자.  1) 직접교수법 직접교수법은 교사가 학생에게 필요한 읽기 기능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것을 직접 시범보이며 가르쳐주는 수업설계이다. 교사는 읽기를 관찰 가능한 세부 행동을고 계획하여 지도해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습 내용을 명확하게 .. 2024. 11. 6.
12. 독서활동과 독서프로그램 - 초기독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독서 특성을 맞추어 독서활 동 및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2.1. 초기독서유치원 시기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까지 아동이 글을 처음 배우고 읽을 수 있을때까지를 초기 식성이라고 본다. 이 시기는 아동이 말을 배우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문자를 학습한다. 그러므로 읽기 학습은 일상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말하기, 듣기, 쓰기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다.능숙한 독사는 문자 언어를 보고 바로 의미를 구성하지만 입문기 하동은 문자 언어를 보고 음성언어로 재기호화 한 다음, 그 청각적 자극을 사용하여 의미를 구성한다. 이는 입문적 아동이 독서활동이 주로 소리내어 읽기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까닭이다. 발음중심 지도 방법과 의미중심 지도 방법으.. 2024. 11. 6.
11. 독서의 방법 2 - 감상적 이해와 전략, 창의적 이해와 전략, 정보텍스트 독서전략 1. 감상적 이해와 하위 전략감상적 이해는 독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독해 전략 중 하나이다. 이 전략은 독자가 텍스트와 정서적으로 연결되고 공감하며 읽는 방식을 의미한다. 1) 감상적 이해의 개념감상적 이해란 글의 내용에 공감하거나 감동하며 읽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텍스트의 사실적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 독자가 글의 정서와 분위기를 느끼고 이에 반응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2) 감상적 이해의 하위 전략감상적 이해를 위한 하위 전략들은 다음과 같다.주제 및 플롯에 대한 정서적 반응: 글의 전체적인 흐름과 주제에 대해 독자가 느끼는 감정적 반응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인물과 사건에 대한 동화: 텍스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상황과 경험에 자신을 투영하여 공감하는 능력을 말한다..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