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

3. 독서교육의 의의와 성격, 정보사회와 독서교육 1) 독서교육의 의의 교육이란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활동이라는데 의견이 일치한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행위로서 인간의 내부 능력을 개발시키고 미숙한 상태를 성숙한 상태로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독서교육(reading education)이란 독서활동을 통하여 인간답게 만드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2) 교육 목적과의 연계성독서교육의 의의는 교육의 근본적인 목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교육의 목적이 '지식의 가르침', '지혜의 가르침', '인간성의 가르침'을 포함하듯이, 독서의 목적 역시 '지식과 정보의 획득', '지적 능력의 신장', '가치관의 형성'을 포함한다. 이는 독서교육이 단순한 읽기 기술을 넘어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중.. 2024. 10. 26.
2. 독서법의 종류 독서법에는 독서의 목적이나 독서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여러가지 독서법의 특성을 적정하게 활용하는 능력을 길러 독서의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독서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1) 음성 유무에 따른 분류 (1) 묵독: 소리 내지 않고 눈으로만 읽는 방법이다. 장점: 빠른 속도, 주변에 방해되지 않음 단점: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음 (2) 음독: 소리 내어 읽는 방법이다.장점: 집중력 향상, 발음 교정에 도움단점: 속도가 느림, 주변에 방해될 수 있음 2) 양에 따른 분류(1)정독: 꼼꼼히 자세하게 읽는 방법이다.특징: 깊이 있는 이해, 시간이 많이 소요됨(2)다독: 많은 양의 책을 빠르게 읽는 방법이다.특징: 폭넓은 지식 습득, 깊이 있는 이해는 어려울 수 있음 3) 이해 정도에 따.. 2024. 10. 25.
1. 독서의 개념(독서란 무엇인가?) 1. 독서의 개념 독서는 책이나 글을 읽는 행위이다. 이는 단순히 글자를 해독하는 것을 넘어서는 복합적인 활동으로 문장으로 기록된 문자등의 기호를 보고, 거기에 표현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하는 행동이다.   1) 독서의 양상   독서는 크게 두가지 양상으로 나눌 수 있다.   (1) 사회적 소통 행위: 독자가 글쓴이와 대화를 나누는 과정  (2) 지식 창출 행위: 지식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과정 따라서  독서는 아무런 의미도 지니고 있지 않은 단순한 문자나 문자군을 읽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독서란 기호화된 필자의 생각과 감정이 독자의 것으로 바뀌는 상호작용인데, 필자의 생각과 감정이 자동적으로 독자의 것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상호작용의 요소가 되는 독서자료, 독자의 배경지.. 2024. 10. 25.
시선추적 독서 프로그램 에듀테크 리드포스쿨 (read for school) 간단한 지문을 읽고,지문에 대한 정보를 파악, 관련 단어를 바로 학습 할 수 있는 수업쉽게 만들어 봤어요.어떻게 하는지 함께 알아봐요.오늘은 초등 2학년 2학기 세종대왕과이순신, 신사임당, 장영실, 최영장군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영상을 통해서 보여줄 수 있지만,백과사전 찾기 처럼읽기 자료로 간단한 정보를 제공해줬어요. 텍스트로 된 자료를 사용할 수도 있었지만 사용한 어플은 리드포스쿨 그리고 퍼플렉시티 ai 입니다.  퍼플렉시티 바로가기 PerplexityPerplexity is a free AI-powered answer engine that provides accurate, trusted, and real-time answers to any question.www.perplexity.ai   퍼플렉시.. 2024. 10. 24.